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대책마련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새학기 앞두고 고가교복 문제..교육당국 대책 마련에 나서

[뉴스TR=사회] 서울시교육청은 새학기를 앞두고 고가교복 등 교복을 둘러싸고 있는 문제가 잇따라 지적되면서 최근 시내 중.고등학교 에 신입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합리적인 교복 구매 안내를 철저히 해줄것을 당부했다. 교육당국은 교복업체나 대리점이 학생들을 교복 판촉에 동원하지 못하도록 하고 교복 물려주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복 나눔행사 를 1년 내내 시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교육부에서는 교복 가격 상한선을 20만3천원으로 제시했지만 여전히 고가의 교복이 나오고 4대 브랜드의 담합 의혹이 제기되는 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더리뷰] 서울시, ‘여름방학 결식아동 급식지원’ 실시

서울시, ‘여름방학 결식아동 급식지원’ 실시 - 작년 보다 8.2% 예산 늘려 ‘여름방학 결식아동 급식지원’ 대상자 선정·발굴 - 소년·소녀가장 등 결식우려아동 선정, 상황에 따라 조·중·석식 3끼 모두 제공 - 낙인감 없도록 각 지역별 동 주민센터나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으로 신청 [더리뷰=박준식기자] 2013년 07월 04일 -- 서울시가 여름방학 기간 동안 빈곤이나 가정해체 등으로 결식이 우려되는 아동에 대한 끼니를 상황에 따라 최대 조·중·석식 3끼까지 해결해준다. 현재 시가 예상하고 있는 여름방학 급식지원 아동 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5만2천 명으로 특히 올해는 지난해 보다 8.2% 증액한 194억1,700만원을 투입해 한 명의 결식아동도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작년 겨울방학의 경우 결식우려아동 5만1,171명이 급식지원을 받았다. ‘결식우려아동’이란 보호자가 충분한 주식과 부식을 준비하기 어렵거나 주·부식을 준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아동 스스로 식사를 차려 먹기 어려운 경우로써 예컨대 부모가 없는 소년·소녀가정 아동은 물론 부모가 있더라도 맞벌이 등으로 생계가 어려워 아동들의 밥을 해결해주기 어려운 경우가 해당된다. 선정이 된 아동은 가까운 지역아동센터, 종합사회복지관 등 취사 장비를 갖춘 지역 내 시설에서 아동프로그램과 연계해 먹거나, 꿈나무카드 가맹점인 일반음식점, 도시락 배달 등 지역여건과 본인 희망에 따라 원하는 대로 이용 가능하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의 ‘여름방학 결식아동 급식지원’ 대책을 마련, 결식아동 급식지원을 위한 지원 대상자를 선정·발굴하고, 대상아동에게 방학 중 급식을 제공한다고 4일(목) 밝혔다. 시는 ‘98년부터 겨울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지원을 지자체 최초로 실시했으며, 지금은 방학 중 뿐만 아니라 학기 중에도 급식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지난 ’11년 급식비 기준단가를 4,000원으로 올려 보건복지부 권고기준 3,000원 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다.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