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스마트폼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경기도, 청소년 위한 스마트폰 유해정보 차단 사업 추진

경기도, 청소년 위한 스마트폰 유해정보 차단 사업 추진 - 7일, 도청 상황실서 ‘경기사이버안심존’ 사업 추진 협약 체결 - ‘경기사이버안심존 앱’ 보급해 스마트폰 불법 유해정보 차단 및 중독예방 관리  2013년 06월 07일 -- 경기도가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유해정보 차단 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6월 7일 오전 10시 도청 상황실에서 방송통신위원회,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한국정보화진흥원, (사)한국무선인터넷연합회 등 5개 기관이 ‘경기사이버안심존’ 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경기사이버안심존’ 사업은 최근 스마트폰상의 불법 유해정보로 인한 청소년 성범죄 사례가 증가됨에 따라 경기도내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상의 유해정보 차단 및 중독 예방을 통해 건전한 스마트폰 이용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경기도를 비롯한 5개 기관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개발 보급 중인 청소년 유해정보 차단 S/W인 ‘스마트보안관’에 학교 상담교사와 학생과의 상담치료, 중독예방을 위한 통계관리 등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해 ‘경기사이버안심존 앱’을 개발·보급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스마트보안관’의 기능개선 및 고도화,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스마트중독 진단관련 모바일 앱소스 제공과 진단자에 대한 인근 전문상담센터 연계 안내 제공, 경기도교육청은 경기사이버안심존 사업 시범운영,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는 청소년 이용행태 분석정보를 활용한 교사용 관리 프로그램 개발·제공, 경기도는 상담 및 심리치료 연계와 사업 확대 역할을 담당한다. 5개 기관은 6월부터 9월까지 프로그램을 개발해 12월까지 경기도내 초등학교 25개, 중학교 25개 등 50개교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며, 본격적인 서비스가 진행되면 스마트폰 중독 의심 학생들은 상담·지도를 하고, 중독자는 치료를 받도록 할 예정이다. 도는 이 사업의 특징이 스마트폰의 불법 유해정보 접속 방지 및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부모와 학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점이라고 설명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