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정식오픈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서울시, 돌봄분야 마을공동체 온라인플랫폼 정식 오픈

서울시, 돌봄분야 마을공동체 온라인플랫폼 정식 오픈 - 부모커뮤니티, 공동육아, 청소년휴카페, 다문화마을공동체 한 곳에 모아 - 초보 주민자조모임을 위한 보조금사업정보 등 활동지원과 역량강화 서비스 제공 - 우리동네 커뮤니티 찾기 매핑을 통해 자조모임간의 자연스런 소통망 틔워 [더리뷰=장영승기자]2013년 06월 24일 -- 서울시는 돌봄분야 마을공동체 온라인플랫폼( www.seoulparents.kr )을 정식 오픈하고 6월말까지 마을공동체 보조사업자와 관련 공무원, 관심 있는 일반 시민 등을 대상으로 집중 회원가입 신청을 받는다. 서울시는 이번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돌봄분야 마을공동체 4개 사업을 한 곳에 모아 사업참여자 및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가 클릭하나로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고자 마련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부모커뮤니티, 공동육아, 청소년 휴카페, 다문화마을공동체 등 돌봄분야 마을공동체사업을 한 곳에 모아 초보 주민자조모임을 위한 보조금사업정보에서부터 일반 부모들에게 유용한 자녀교육정보까지 폭넓은 활동지원과 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우리동네 커뮤니티 찾기’ 매핑을 통해 우리지역에 어떤 커뮤니티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손쉽게 파악이 가능하며 자조모임간의 자연스런 소통망을 틔울 수 있게 했다. 온라인플랫폼은 크게 돌봄분야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참여, 함께마당, 서울시정책, 정보마당, 유용한 사이트 등 6개의 콘텐츠로 나뉘어져 있다. 지원사업 참여 메뉴에서는 사업계획변경 신청 및 승인, 보조금관리시스템 접속, 컨설팅 지원, 자료실 등 보조사업자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도우며 서울시 정책 메뉴에서는 여성가족정책, 출산육아 정책, 아동청소년정책, 다문화정책 등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함께마당에서는 커뮤니티의 각종 소식, 우수사례, 갤러리 등 모임의 활동소식 및 우수사례 등을 공유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전

[더리뷰] 서울시, 청소년 종합서비스 공간 ‘시립 청소년드림센터’ 개관

서울시, 청소년 종합서비스 공간 ‘시립 청소년드림센터’ 개관 [더리뷰=장영승기자] 2013년 06월 13일 --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구)서울의료원이 서울시 최초의 청소년 종합서비스 공간인 ‘시립 청소년드림센터’로 탈바꿈해 13일(목) 문을 연다. ‘시립 청소년드림센터’에선 대안학교, 상담실, 성문화센터, 쉼터, 휴카페, 포켓볼·보드게임·노래방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놀이터까지 청소년 관련 모든 서비스를 한 공간에 집약시켜 제공하게 된다. 또 센터는 서비스 참여 단계부터 등록 및 사례관리, 맞춤형 서비스 및 사후관리까지 3단계 맞춤형 서비스로 청소년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7개월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청소년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적합도를 검증한 끝에 13일(목) ‘시립 청소년드림센터’를 정식으로 오픈한다고 밝혔다. (구)서울의료원에 대한 리모델링은 지난 2011.12~2012.8에 걸쳐 이뤄졌으며, 청소년드림센터는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 건물 중 지하 1층, 지상 4층·5층 총 3개 층(연면적 6,452㎡)을 사용하게 된다. 서울시는 다양해지는 청소년의 욕구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과도한 입시경쟁 속에서 정서적, 신체적 위기에 처한 청소년에게 회복 및 치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립 청소년 종합서비스 공간을 설치하게 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참여→등록 및 사례관리→맞춤형 서비스 및 사후관리 3단계 성장 지원> 우선 청소년드림센터의 3단계 맞춤형 서비스는 △서비스 참여 △등록 및 사례관리 △맞춤형 서비스 및 사후관리로 이뤄진다. 1단계인 ‘서비스 참여’는 홍보 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찾은 청소년 혹은 학교·지역아동센터·쉼터 등 지역사회 각 시설과 연계한 청소년들이 자유로운 휴식처 또는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단계다. 2단계인 ‘등록 및 사례관리’ 단계는 청소년이 지속적인 서비스 이용을 원할 경우 체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사례를 관리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