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학자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건국대, 20일 국내외 저명 학자 초청 ‘가축질병’ 국제심포지엄 개최

건국대, 20일 국내외 저명 학자 초청 ‘가축질병’ 국제심포지엄 개최 - ‘노벨상’ 로저 콘버그 건국대 석학교수, 중국질병관리본부 징위안 차오 박사 등 [뉴스TR=장영승기자] 2013년 08월 16일 -- 건국대 생명특성화대학(학장 김은수)은 세계 각 지역에서 수시로 발생하고 빠르게 확산되는 구제역 등 가축질병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노벨상 수상자인 로저 콘버그(Roger Kornburg) 건국대 석학교수(미 스탠퍼드대 교수) 등 국내외 저명 학자를 초청, 20일 건국대 더클래식500에서 ‘구제역을 중심으로 한 가축질병 대응방안 모색’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건국대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유병린)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총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서정향 건국대 산학협력단장이 ‘가축질병의 배경과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에서는 ‘백신개발’, ‘항생제개발’ 등 2가지 주제가 다뤄진다. 먼저 백신개발 부문에서 구제역 전문가인 농림축산검역본부 박종현 박사가 ‘구제역 관리와 박멸의 효과적인 전략’을 발표하며, 강린우 건국대 생명특성화대학 교수의 ‘구제역 바이러스의 캡시드 조합과 구조 연구’, 중국질병관리본부 징위안 차오(Jingyuan Cao) 박사의 ‘수족구병 바이러스유사입자 백신 개발’ 발표가 이어진다. 이어 항생제개발 부문에서 로저 콘버그 건국대 석학교수가 ‘항바이러스제 개발과 가축질병 적용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김동은 건국대 교수가 ‘구제역 바이러스의 RNA 중합요소 분석과 억제제 스크리닝’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항생제개발 부문 대표 발표를 맡은 로저 콘버그 교수는 인간의 모든 유전자 발현이 대부분 조절되는 생물·의학적 과정인 전사(轉寫)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 단백질을 밝혀내고, 전사 관련 단백질 집합체의 구조를 원자 단위까지 규명해 200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바 있다. 특히, 전사 과정은 2000년 RNA복제효소 단백

[더리뷰] 박문호 박사, ‘뇌과학으로 본 창의성’ 명사지식기부 특강

박문호 박사, ‘뇌과학으로 본 창의성’ 명사지식기부 특강 2013년 06월 07일 -- 대한민국 명사지식기부 릴레이로 지난 2011년 많은 관심을 받았던 ‘스마트브레인코리아’가 새로이 문을 열고, 뇌과학자 박문호 박사가 ‘뇌과학으로 본 창의성’ 주제로 명사 지식기부자로 나선다. ‘스마트브레인코리아’는 두뇌포털 브레인월드닷컴( www.brainworld.com )과 한국뇌과학연구원(원장 이승헌)이 공동주최하는 명사초청 지식기부 강좌시리즈이다. 대한민국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학자, CEO, 저자 등이 21세기 대표키워드인 ‘뇌’를 중심으로 지식문화풍토를 만들어 가는 마당으로 2011년 1월 이민화 KAIST 교수의 지식기부를 시작으로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 미래학자 정지훈 박사, 조영탁 (주)휴넷 대표 등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이 시민들에게 지적 충만감을 선사했다. 이번에 지식기부에 나선 박문호 박사는 쉬운 대중과학이 아닌 과학의 전문 지식화를 주창하며 밀도 깊은 자연과학공부를 이끄는 인물이다. 경북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미국 텍사스 A&M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통섭적 공부로 천문학, 물리학, 뇌과학 분야의 전문가로 통한다. 2008년 펴낸 ‘뇌, 생각의 출현’은 그 해 베스트 10에 오르기도 했으며, 현재 사단법인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을 이끌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특히, 최근 오랜한 뇌 공부를 묶어 펴낸 ‘그림으로 읽는 뇌과학의 모든 것’은 뇌 분야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필독서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박문호 박사 명사특강은 오는 6월 19일 수요일 저녁 7시부터 2시간동안 청담동 일지아트홀(구 강남난타극장, 분당선 압구정로데오역)에서 개최되며 두뇌포털 브레인월드( www.brainworld.com )에서 신청을 하면 된다. 참가는 선착순 200명으로 비용은 무료이며, 참석자들에게 국내 유일의 뇌 관련 정기간행물이자 뇌교육전문지인 ‘브레인’이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