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상승세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폭스바겐 골프, 아우디 Q5 7월 신차 출시…중고차 거래도 상승세

폭스바겐 골프, 아우디 Q5 7월 신차 출시…중고차 거래도 상승세 [더리뷰=박준식기자]2013년 06월 25일 -- ‘전통적인 비수기’라는 룰을 깨고 올 7월에는 주요 수입차 브랜드의 신차 출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아우디는 Q5의 고성능 버전인 SQ5를 7월께 선보인다. 기존의 Q5에 고성능을 탑재한 아우디 SQ5 모델은 국내 시장에선 첫선을 보이는 모델이다. 국내에 해치백 대중화를 이룬 폭스바겐의 골프 7세대 모델도 7월 출시 예정이다. 폭스바겐 골프 7세대 모델은 지난 ‘2013 서울모터쇼’에서 국내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차체 무게를 100kg 가량 줄인 경량 설계가 특징이다. 이밖에 BMW도 7월 신차 출시를 예고했다. BMW의 대표 모델 5시리즈,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이르면 7월부터 판매에 돌입할 예정이다. BMW 3시리즈, 320d 그란투리스모(GT) 모델도 7월에 선보인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의 7월 신차 출시 소식에 중고차 시장도 술렁이고 있다. 중고차 전문 사이트 카피알( http://www.carpr.co.kr )에 따르면, 폭스바겐 골프, 아우디 Q5 중고차 등의 구입과 판매 문의가 6월 들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카피알 마케팅 담당 박현희 대리는 “이처럼 7월에 대형급 신차 출시가 이어지는 것은 7월부터 관세가 추가로 인하되며, 수입차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신차의 가격 인하는 중고차 시세에도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수입신차업체의 가격 프로모션과 한·EU FTA로 인한 수입차 가격 인하로 수입중고차의 가격경쟁력도 높아지고 있다. 폭스바겐 골프 중고차는 신차 출시 소식 이후 거래량이 꾸준히 증가해, 벤츠 E클래스와 혼다 어코드 등을 제치고 수입중고차 거래순위 5위로 올라섰다. 현재 폭스바겐 골프 GTI 중고차는 골프 6세대 2.0 GTI 5도어, 2011년식 중고자동차 기준 2,760 ~ 3,280만원선에 거래된다. BMW의 대표 모델 5시리즈와 또 다른 인기 모델 3시리즈는 중고차 시장의

[더리뷰]비즈스프링, 2013년 5월 국내 인터넷 이용현황 발표

비즈스프링, 2013년 5월 국내 인터넷 이용현황 발표 [더리뷰=박준식기자] 2013년 06월 14일 -- 웹로그 분석 전문업체인 비즈스프링이 2013년 5월의 국내 인터넷 이용현황에 대한 통계자료를 발표했다. 검색엔진 5월 한 달동안 국내 검색엔진 점유율은 네이버가 77.78%, 다음은 15.33%, 구글은 4.13%, 네이트는 1.21%, 줌은 0.56%이다. 네이버와 다음 두 검색엔진의 점유율이 전체의 약 90%가량을 차지한다. 그렇다면 카테고리별 점유율은 어떠할까? 네이버의 점유율은 쇼핑 카테고리 중에서도 남성제품 카테고리에서 90.56%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카테고리는 정치/행정(26.83%), 구글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카테고리는 유통/운송(55.49%)이다. 유통/운송은 가장 낮은 네이버 점유율(5.28%)의 카테고리이기도 하다.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네이트와 줌은 네이버와 다음의 독주에도 적은 비율의 점유율이지만 꾸준히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그 중 점유율이 좀 더 높은 네이트에서는 쇼핑-여성제품(2.36%)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줌의 경우는 쇼핑-도서/음반(1.45%) 카테고리의 사용률이 가장 높았다. 특히, 줌은 서비스 출시 이래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NS 5월 국내 SNS 점유율은 페이스북 78.3%, 유투브 20.5%, 미투데이 0.95%, 싸이월드ⓒ로그 0.21%, 구글 블로그와 구글+는 각각 0.01%씩 차지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한때 80%를 넘는 점유율을 보였지만, 지금은 약 78%대로 하락했다. 카테고리 별로 보면, 쇼핑 카테고리는 거의 모든 카테고리가 약 95% 이상의 페이스북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쇼핑 카테고리를 제외하면 정치/행정(98.84%)이 페이스북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카테고리로 나타났다. 페이스북의 점유율이 가장 낮은 카테고리는 건강/의학(51.78%)이며, 유투브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카테고리는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