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쓰레기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서울시, 버려지는 비닐 재활용률 높여 에너지원 만든다

서울시, 버려지는 비닐 재활용률 높여 에너지원 만든다 [더리뷰=장영승기자] 2013년 06월 11일 -- 아침 출근 후 한 잔의 커피믹스, 출출한 오후 시간에 먹은 과자 봉지 등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매일 사용되지만 그냥 버려졌던 폐비닐이 에너지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지금까지 대부분 종량제 봉투를 통해 버려지고 있는 폐비닐을 재활용을 위해 포스코에너지와 양해각서를 11일(화) 체결하고 ‘필름류 전용봉투 수거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필름률 전용봉투 수거 시범사업은 ‘세계 제일의 재활용도시 Master Plan’의 핵심 사업인 ‘주택가 재활용 정거장’ 사업과 함께 구로구 신도림동에서 6월 11일부터 시행된다. 폐비닐 재활용은 홍보 부족과 시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제대로 이루어 지 않았으나, 이번 협약을 통해 포스코 에너지가 제작한 ‘폐비닐 전용봉투’를 단독, 다세대, 연립주택에 세대별로 무상으로 통반장을 통해 배부해 배출 단계부터 재활용이 가능토록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까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비닐포장지의 대부분이 일반 쓰레기 봉투를 통해 그대로 처리되고, 매립장에서 따로 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주부 김선미(33·동작구 사당동)씨는 “집에서 사용한 비닐류를 분리해서 버리면 쓰레기량을 줄이고, 종량제 봉투 값도 아낄 수 있지만, 번거롭기도 하고 이를 지키지 않아도 아무런 제재가 없다보니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리게 된다”고 했다. 주택가에는 폐비닐 전용 수거함이 없다 보니 가정에서 재활용 수거일에 맞추어 배출해야하며, 분리해서 버린다고 하더라도 수거 위탁업체들이 ‘번거롭고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거를 꺼리는 실정이다. 또한 이물질을 혼합 배출한 가정을 대상으로 환경컨설턴트나 시민단체 등을 통해 각 가정을 방문하여 1:1 컨설팅을 실시하여, 일반쓰레기나 음식물쓰레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지속인 홍보 및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금번 시범사업을

[더리뷰] 버린 만큼만···음식물쓰레기 종량제 6월 2일부터 본격화

버린 만큼만···음식물쓰레기 종량제 6월 2일부터 본격화  6월 2일부터 개정 폐기물관리법 발효,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 시행 근거 마련 버린 만큼 수수료를 내는 종량제 시행으로 20%를 줄이면 연간 1,600억원의 쓰레기 처리비용이 줄어드는 효과 기대 그간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상관없이 정액제 등으로 동일하게 수수료를 부담하던 방식이 6월 2일부터는 버린 만큼 부담하는 종량제로 바뀐다. 환경부(장관 윤성규)는 이러한 내용을 담아 2012년 6월 1일 개정한 폐기물관리법이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6월부터 발효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개정 법안 시행으로 변화되는 주요 내용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방식이다.  기존 폐기물관리법은 중량 단위 전자태그(RFID) 시스템 등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내는 등 다양화된 종량제 방식을 반영하지 못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법안이 시행되는 6월 2일부터 부피 및 무게 단위 배출량에 따른 부담금 납부 방식 등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본격화해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 현재 전국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현황을 보면, 분리배출 대상 144개 지자체 중 현재 129개 지자체가 조례 개정을 통해 종량제를 시행 중에 있으며, 미시행 지역은 하반기까지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 미시행 지역(15개) : 서울(서초구 등 9개 자치구), 경기(수원시 등 6개시) 환경부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최대 20%의 쓰레기 배출 감량효과가 있으며 처리비용과 에너지 절약 등에 따른 이익까지 1석 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음식물쓰레기는 연간 8,000억 원의 처리비용과 20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며, 전국적으로 20%를 줄이면 연간 1,600억 원의 쓰레기 처리비용절감과 에너지 절약 등으로 5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12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