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구직자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구직자 2명 중 1명, 공기업 ‘서류전형 폐지’ 찬성

구직자 2명 중 1명, 공기업 ‘서류전형 폐지’ 찬성 - 구직자 75.5%, 대기업 탈스펙화 채용 ‘찬성’ - 구직자 84.6%, 탈스펙 채용에도 스펙 쌓는 시간은 ‘못 줄일 것’ [뉴스TR=장영승기자]  2013년 08월 06일 -- 취업포털 커리어가 운영하는 히든챔피언(hdchamp.career.co.kr 대표 강석인)이 구직자 6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구직자들이 ‘탈스펙 채용’을 환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먼저 ‘공기업의 서류전형 폐지 추진’에는 구직자의 55.8%가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대한다’가 23%, ‘모르겠다’가 21.2%였다. ‘대기업의 탈스펙화 채용’에 대해서는 75.5%에 달하는 구직자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반대’는 13.2%, ‘모르겠다’는 11.3%였다. 가장 이상적인 채용 문화를 택하고 있는 기업을 묻는 질문에는 23.2%가 ‘GS그룹- 블라인드 면접’을 꼽았다. 이어 ‘삼성그룹- 직무적성검사 대상자 확대’(21.3%), ‘SK그룹- 오디션/합숙 인턴 선발제’(12.7%), ‘LG그룹- 지방대 현장 순회 채용’(9.6%), ‘포스코- 인턴 채용 탈스펙 전형’(8.5%), ‘롯데- 그룹 공채 학력제한 폐지’(7.8%), ‘한화- 인적성 검사 폐지’(7.5%), ‘현대자동차- 잡페어 5분 자기 PR’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탈스펙 채용 문화 확대 시, 구직자들은 스펙을 준비하는 기간/비용을 줄일 생각일까? 전체의 84.6%가 ‘줄이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55.1%의 구직자는 ‘서류에서 스펙을 보지 않아도 면접 등의 과정에서 확인 될 것이다’라고 탈스펙 채용 문화의 영향을 예측했다. 44.3%는 ‘공평한 채용이 이루어질 것이다’라고 예상했으며, 기타의견으로는 ‘더욱 힘든 면접 준비가 필요해질 것이다’, ‘청탁이 훨씬 쉬워질 것이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이에 커리어 김진영 홍보팀장은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를 발굴하기 위한 기업의 시도가 신호탄을 쏘아

[더리뷰] 구직자 3명 중 2명, “창업하고싶다”

구직자 3명 중 2명, “창업하고싶다” - 창업하면 최소월 순수익 ‘357만원’은 되야 - 창업 희망아이템 1위 ‘카페’, 2위는?         [더리뷰=장영승기자]2013년 06월 19일 -- 창업에 대한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구직자 3명 중 2명은 향후 창업을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취업포털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 )이 최근 한 달간 전국에 있는 구직자 2289명을 대상으로 ‘창업과 아르바이트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66.4%가 창업을 하고 싶다고 응답했다고밝혔다. 특히 전체 연령대중 30대가 창업에 대한 생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가 82.5%로 창업 희망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0대(80.9%), 40대(77.1%),20대(62.2%), 10대(58.8%)순으로나타났다. 전체 응답자가가장 희망하는 창업 아이템 1위는 ‘카페’가 차지했으며 32.8%에 달했다.2위는 ‘음식점’(20.2%)이 차지했고, ‘의류잡화매장’(9.5%)이 3위에올랐다. 이 외에 ‘펜션’(6.2%),‘베이커리’(5.2%), ‘편의점’(3.8%) 등의아이템을 꼽았다. 이 가운데 세대별로는 유일하게 40대만 ‘음식점’이 1위를 차지했고, 다른 연령층은 모두 창업 아이템 1위로 ‘카페’를 손꼽아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창업붐과 함께 창업이 성공하기가 어려운 일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구직자 10명 중 7명(68.3%)은창업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다고 응답했다. 창업 희망자에게성공할 확률을 질문한 결과, 성공할 확률이 ‘30~50%’(28.6%)를꼽는 구직자가 많았고, 다음으로 ‘10~30%’(25.7%)를, 열에 아홉은 실패한다(10% 미만)는 응답도 14%를 차지했다. 반면, 창업 성공에 대해 낙관적인 의견은 ‘50~70%’ 21.1%,‘70~90%’ 7.3%, ‘90~100%’ 3.3%로 나타났다. 또 창업 후매월 최소한 순수익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