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상생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지역서점 육성 포럼 개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지역서점 육성 포럼 개최 - 중소출판과 지역서점, 상생의 길을 모색한다 [더리뷰=장영승기자]2013년 06월 26일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재호, 이하 진흥원)은 6월 27일 목요일 오후 2시 가톨릭청년회관 대강당에서 ‘지역서점 육성 포럼’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는 한국출판학회에서 수행한 ‘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지원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결과도 함께 발표된다. - 후원 : 보수동책방골목번영회, 송인서적, 출판유통진흥원, 한국서점조합연합회, 한국출판학회, 한국출판협동조합, 1인출판협동조합, YES24 (가나다 순) 진흥원은 지난해 연말부터 지역서점 육성을 위한 ‘운영협의회’를 구성하고 포럼과 운영협의회 회의를 번갈아 개최했다. 서점 종사자와 출판 전문가, 지방자치단체와 소비자단체 관계자, 그리고 일반인과 함께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총 3회 중 마지막으로 개최되는 이번 공개 포럼에서는 출판문화산업의 약자인 중소출판과 지역서점의 상생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이 제안될 예정이다. 먼저 경과발표에서는 운영협의회 위원인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이 6개월 여에 걸친 “지역서점 육성 포럼”에서의 주요 논의사항과 성과를 이야기 한다. 주제발표로는 정광진 1인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이 중소출판 양서 권장 사업, 신간 공동 구매와 책임판매제, 공동마케팅과 공동출판, 마을서점사업 등을 중소출판사와 지역서점 전략적 협력 방안으로 이야기 한다. 첫 번째 토론자 양수열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무위원장은 사재기 문제와 도서정가제 개정 등 우리 출판과 서점산업의 해결과제를 언급하며, 출판 주체의 경쟁력을 강화가 서점 생존의 선결 조건임을 강조한다. 씽크스마트 김태영 대표는 마케팅과 유통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1인 출판의 약동을 위해 출판의 다양화와 유통 체계 마련이 시급함을 지적한다. 유통의 일원화 및 서점조합연합회와의 연계 등을 통한 유통 개선과 독서 캠페인, 도서관 확대 등 출판 다양화의 토대가 될

[더리뷰 young] 서민을 위한 정치, 상생,정답??

요즘 계속 보도 되고 있는 남양유업... 대기업들의 횡포 하루 이틀 의 문제가 아니다. 대기업들이 한국을 살린다는 보도를 작년쯤 해서 들은 바가 있다. 이게 과연 옳은 것인가? 경제 자체로는 불균형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빈부의 차가 점점 심해지고.. 청년들은 대기업에만 입사하려들고... 우여곡절끝에 미래 창조 과학부 장관이 내정되고 중기청장도 바뀌고 했다. 과연 현직 대통령인 박근혜 가 어떻게 진두지휘를 해 나아가면서 임기를 잘 마무리 할수 있을지가 궁굼하다. 물론 임기 동안 무엇을 바꾼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중소기업 살리기, 중소기업과 상생하기... 뭐이런말들... 무수히 많이 들어본 말들이다. 현실적으로 중소기업 인터뷰를 나가서 대표들을 만나다 보면 이러한 부분들이 굉장히 미세하거나 힘들다고 한다. 물론, 일부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들을 잘 활용하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극히 일부만 그렇게 하고 나머진 못하는 이유는 홍보도 덜 됐을 뿐이고, 조건 자체가 많이 까다로워서 그럴것이다. 예산이 부족하다.. (뭐 이런말들) 국회의원들 월급 일부만 삭감해도 아마 많은 기업들이 살아날것이라 생각이 든다. 품위유지비, 관용차량.. 이게 국민을 위한 것인가? 본인들을 위한 것이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고 있으면, 국민의 일꾼으로 일하기를 바란다. 당신들이 잘나서 뽑은 것은 아니다. 당신들이 국민들 대신에 앞에 나서서 싸워주기를 바라는 심정으로 투표를 한것이다. 얼마전 미창부(미래창조과학부) 에 이러한 부분들을 중점적으로 다루려고 요청을 했다. 이에 미창부 측의 답변은 아직 자리가 잡히질 않아서 인터뷰 자체를 할수 없다고 한다. 물론 중요한 부분이고 세심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부분이란것은 인정한다. 미창부 에서 중소기업들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한다라는 말을 들었다. 그 지원금 일부는 중소기업들에게 돌아가고 나머진 대기업들이 독식하는 그런 지원인가? 마지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