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서울역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서울역 분신남 사건..유족과 경찰 주장 엇갈려.

[뉴스TR=사회] 지난 31일 2014년 새해를 하루 남기고 서울역 앞 고가도록에서 박근혜 사퇴를 외치며 스스로의 몸에 불을 붙여 자살한 이남종 씨가 남긴 유서를 두고 유족과 경찰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씨의 유서를 확인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소속 박주민 변호사에 따르면 이씨의 수첩에는 '안녕들하십니까'라는 제목의 유서가 적혀 있었으며, 지난 대선 당시 정부기관의 개입으로 불법 선거가 자행됐으나 박근혜 대통령은 이에 대한 진상규명을 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씨는 안녕들 하십니까 유서를 포함해 국민에게 2통, 가족에게3통, 평소 도움받은 이들에게 2통 등 7통의 유서를 남긴채 스스로의 몸에 불을 붙였다. 국민에게 남기는 유서에 "국민들은 주저하고 두려워하고 있다"며 "모든 두려움은 내가 다 안고 가겠다. 국민들이 두려움을 떨치고 일어났으면 한다"고 적었으며,가족에게 남기는 유서에는 "짐을 지우고 가 미안하다. 슬퍼하지 말고 행복하게 갔다고 생각하라. 엄마를 부탁한다"라는 마지막 편지를 담았다. 경찰 측은 "이씨는 특정 단체나 노동조합 등에 소속된 사람이 아니다"며 "형 사업으로 인해 생긴 카드빚 3000만원과 어머니 병환 등 복합적 동기로 분신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지만, 박 변호사는 "형의 사업으로 이씨가 3000만원 상당의 빚을 떠안게 됐으나 이미 7~8년 전의 일"이라며 "이 빚 역시 모두 형이 책임지기로 결정됐기에 평소 이씨가 카드빚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일은 없었다"고 말했으며, 죽음이 어머니의 병환 때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어머니는 치매 초기 증상을 앓고 있을 뿐 신체 건강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며 "이씨는 평소 알아주는 효자였다. 그의 죽음이 어머니의 병환 때문이라는 주장은 전혀

[뉴스TR] 감사원, 서울역 고가도록 파손 심각한 수준, 붕괴위험.

[뉴스TR=사회] 감사원은 서울역 고가도로가 노후화로 인한 붕괴 위험에 직명해 있다며 대형재난 예방.대응 실태에 대한 감사를 통해 이같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서울역 고가도로는 40년이 넘어 바닥판을 포함한 주요 부위가 더 사용할수 없을 정도록 손상돼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2010년 까지 서울역 고가도로를 철거하기로 했다가 2015년으로 미룬 상황이다. 또한 감사원은 경복궁과 부석사 등 주요 묵조문화재 는 화재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목조문화재 재난방지 장치를 설치하라고 주문했다.

[더리뷰] 천사가 보내온 3개의 비닐봉지, 서울역 노숙인들을 울리다

천사가 보내온 3개의 비닐봉지, 서울역 노숙인들을 울리다 [더리뷰=박준식기자]  2013년 06월 17일 -- 24년의 세월을 서울역 인근 노숙인들을 위한 구호사업에 매달려온 사단법인 <참좋은친구들-이사장 김인환 전 총신대 총장 / www.trulygoodfriends.org >의 마당쇠를 자처하는 김범곤 목사. 서울역 노숙인들의 대부로 통하는 김 목사에게 전해온 근처 포장마차 주인의 비닐봉지 얘기가 가슴을 울린다. 일주일에 한 번씩은 노숙인들 사이에서 스스로 잠을 청할 정도로 노숙자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며 그들의 식사배식과 사회복귀를 위한 일에 매진해 온 김범곤 목사. 얼마 전 늦은 시각 근처를 돌며 노숙인들을 살피고 있는데 작은 포장마차 주인 조모 씨가 비닐봉지 3개를 건넸다. 평소 알고 지내던 사이라 간식이려니 하고 고마움을 표하고 들어와 사무실에서 비닐봉투를 열어보는 김 목사는 눈물이 돈다. 비닐봉투안에 들어 있는 건 천원짜리 지폐 수십장과 오백 원짜리 수십개. 백 원짜리 동전 한 무더기. 하루치 매상인지 따로 떼어 얼마간 모은 돈인지는 모르지만 서로 눈인사 정도 나누던 조씨가 요즘 <참좋은친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알고서 내놓은 그런 돈이었다. 여러 가지 동기와 형태의 후원과 지원이 있을 수 있지만 이 돈이야 말로 성경 속에 나오는 어떤 과부의 두 렙돈과 비슷한 물질이 아니겠냐고 김 목사는 말한다. 서울역인근 노숙자를 위해 24년간 봉사해온 기독교 구호단체 <사랑의 등대>는 작년 말, 보다 체계적인 노숙인 구호관련 사업의 전개를 위해 사단법인 <참좋은친구들>로 전환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어려움을 만났다. 익명의 독지가 도움으로 중림동 <참좋은친구들>, 현 시설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건설업을 하는 독지가가 사업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득불 4억 원 건물 보증금을 회수해 가야할 상황에 봉착한 것. 지금이라도 퇴거명령이 떨어지면 이 시설의 사용은 더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