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신사업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미래창조과학부“인터넷 신사업 육성 발표”

미래창조과학부 “ 인터넷 신사업 육성 발표 ”   미래창조과학부 ( 장관 최문기 , 이하 “ 미래부 ”) 는 6 월 5 일 ( 수 ) 오후 , 인터넷 신산업 ( 사물인터넷 ․ 클라우드 ․ 빅데이터 ) 업계 중소기업 대표 간담회를 갖고 “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 ” 을 발표한다 .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 페이스북 등 인터넷 기업이 사물인터넷 ․ 클라 우드 ․ 빅데이터 등 인터넷 신산업 투자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신성장 동력으로서 인터넷 신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 선진국 대비 인터넷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이 낮은 상황을 보이고 있다 .   이와 같은 인터넷 신산업 분야의 현실을 반영하여 , 미래부는 창의 적인 아이디어가 상상에 그치지 않고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로 발전 할 수 있도록 “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 ” 을 마련하였다 . 미래부는 이날 발표한 “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 ” 을 기본으로 향후 분야별 ․ 항목별 세부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 이다 . 이와 같은 정책과 업계의 노력이 어우러질 경우 , ’17 년까지 인터넷 신산업 관련 1,000 개 창조기업이 등장하고 시장 규모는 10 조원으로 성장하여 , 일자리 5 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간담회에 참석한 인터넷 신산업 기업 대표들은 법제도 개선 필요 ,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고 , 인터넷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인터넷 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은 선순환 생태계 확립을 위한 기반 조성 과 초기 수요창출 에 있다고 밝히고 , 이를 위해 “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 ” 을 바탕으로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인터넷 신사업에 투자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