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도네시아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아름다운가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해외 2호 매장 오픈

아름다운가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해외 2호 매장 오픈 [더리뷰=박준식기자] 2013년 06월 24일 -- 비영리공익재단 아름다운가게가 지난 해 9월 미국 LA 해외 첫 매장 개설 이후 두 번째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매장을 개점한다.  친환경적 생활변화와 소외이웃을 지원하는 비영리공익재단 아름다운가게는 지난 22일(현지시간 10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아름다운가게 해외매장 2호점을 개점했다고 밝혔다. 미국 구세군, 영국 옥스팜과 같은 선진국의 자선단체가 운영하는 ‘재사용나눔가게’의 사례 연구를 통해 재사용, 나눔문화를 한국에 정착시킨 아름다운가게는 2002년 서울 안국동에 첫 매장을 개점한 이후 전국 120여 개 매장을 운영해 왔으며, 창립 10주년이 된 지난 해 9월에는 미국 LA 에 해외 첫 매장을 개점하면서 아름다운가게가 해외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번 아름다운가게 해외 2호 매장 개점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 이석호 운영위원을 중심으로 아름다운가게 재사용, 나눔문화에 관심이 많았던 현지 교민들이 매장 공간과 인테리어, 필요경비 등을 기부하면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지난 2011년부터 이들은 한국 아름다운가게를 방문해 매장개설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를 시작했으며 2012년 2월에는 인도네시아 현지 신문을 통해 매장개설 준비위원회를 모집하는 등 해외 2호 매장 개점을 위해 꼼꼼한 준비과정을 거쳤다. 뿐만 아니라 지난 해 5월에는 아름다운가게가 운영하는 뚝섬 어린이 벼룩시장을 방문하여 단순 매장 운영이 아닌 시민들의 재사용 나눔 문화 전파에도 관심을 보였다. 아름다운가게 자카르타 매장의 운영수익금은 수식나눔위원회를 구성해 소외계층의 생계지원, 자립기반 확충, 교육지원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자카르타 매장 설립을 제안한 이석호 운영위원은 “인도네시아에 아름다운가게가 개점된 것은 인도네시아와 동남아 국가들에게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면서 “나눔이 절실한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에

[더리뷰] 서울시, 해외 철도 관련 공무원 초청 연수 프로그램 진행

서울시, 해외 철도 관련 공무원 초청 연수 프로그램 진행 - 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있는 해외 철도분야 공무원 초청 연수 - 인도네시아, 리비아, 태국 3개국 12명 대상, 15일간 진행 2013년 06월 07일 -- 서울시는 1974년에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한 이후 지난 40여 년간 축척해 온 도시철도 건설·운영 노하우를 해외도시 철도 관련 공무원에게 소개하기 위한 초청 연수 프로그램을 6월 1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서울의 도시철도는 70년대 급속한 도시성장에 따른 도로교통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시작되어, 현재 9개 노선 327km의 시설규모로 일평균 690만 명의 시민이 이용하는 세계적 수준의 도시철도로 성장했다. 현재에도 9호선 연장노선(2,3단계) 13.6㎞와 우이∼신설 경전철 11.4㎞의 도시철도를 건설 중이다. 서울시 도시철도는 市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건설하고 市 투자기관인 서울메트로(1∼4호선), 서울시도시철도공사(5∼8호선)와 민간사업자인 Metro 9(9호선)에서 운영하면서 각 분야별로 우수한 기술과 경험을 쌓아 왔다. 올해 처음으로 실시되는 국내 초청 해외 연수는 인도네시아, 리비아, 태국의 철도분야 고위·중견 공무원 12명이 초청되어 15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연수 프로그램은 도시철도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해외 철도 관계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서울 도시철도의 건설·운영·유지관리에 대한 노하우와 기술·정책 소개, 현장 방문·견학, 운영 중인 노선 시승, 문화체험 등으로 구성해 서울의 도시철도와 우리나라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서울시 교통정책과 도시철도 현황, 수도권 광역철도, 경전철 민자사업, 건설사례 등과 궤도·차량·신호·통신·AFC·운전·관제 등 운영 및 유지관리에 대한 경험과 기술이 소개된다. 철도기술연구원, TOPIS(교통정보센터), 스마트카드사, 차량제작 공장 지하철 건설현장 등 방문·견학과 함께 지하철 9호선, 신분당선, 의정부경전철, KTX 등 운영 중인 노선 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