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창업지원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대구시,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380억 융자 지원

대구시,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380억 융자 지원 - 7. 8(월)부터 자금 소진 시까지 접수 받아 [더리뷰=장영승기자] 2013년 07월 04일 -- 대구시는 지역 중소기업의 시설투자촉진을 통한 일자리창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3년도 하반기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융자규모 380억원을 확정하고 융자추천서를 신청 받는다. 융자추천 대상 업종으로 대구시내에 본점(사업장)을 두고 있는 제조업, 제조 관련 서비스업, 지식산업, 유통업, 건설업 등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체다. 융자금리는 일반기업체는 연 3.2%(3개월 변동금리)이며 중소기업 대상 업체, 스타기업, 3030기업, 쉬메릭 지정업체, 벤처·이노비즈기업체 등 우대기업은 연 3.0%(고정금리)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융자 추천한다. 융자한도는 기계 등 생산시설 구입 및 건축자금은 10억원이며(생산설비자금 3년 거치 5년 균분상환, 건축자금 2년 거치 3년 균분상환) 이에 수반되는 운전자금은 2억원까지로 업체당 12억원 한도 내에서 융자 지원한다. 그 외 아파트형공장건립소요자금 40억, 역외유치기업 30억, 100억 이상 대규모투자기업 20억원 한도로 각각 융자 지원한다. 특히 지역 중소기업제품 구매 확대 촉진을 위해 공장건축 시공사 또는 생산설비납품업체를 지역 중소기업으로 이용토록 유도하고 융자추천 시 이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다. 융자신청 접수는 7. 8.(월)부터 자금 소진 시까지 수시로 신청 받으며, 접수처는 市 경제정책과(803-3402)에서 직접 받는다. 자세한 사항은 대구시 홈페이지(www. daegu.go.kr. ‘고시공고’)를 참조하면 된다. 대구시 안국중 경제통상국장은 “자금지원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기업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며 “올해는 엔화약세 등 국제환율 변동으로 지역 기업들이 경영에 어려움이 예상돼 추경예산 확보 등을 통해 자금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리뷰]창조경제의 핵심이 창업뿐인가? 창업지원

창조경제의 핵심이 창업뿐인가?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 구상의 핵심은 창업이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가 성공하려면 좋은 아이디어가 손쉽게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15일 발명의날 기념식)거나 “창업 을 쉽게 하기 위해 획기적인 시스템을 정부 차원에서 마련하겠다”(16일 중소기업인과의 만 찬)고 연일 강조하고 있다. 창조경제의 구상의 핵심은 창업이라.. 참 어이가 없는 말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물론 굉장히 기발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고 사업적인 마인드가 같이 있으면 엄청난 부를 가지고 성공할 것이다. 하지만, 사업이란 부분이 그리 만만한 정도가 아니다. 아주 어렵다. 창업을 시도하려는 사람이 현재 대한민국에 총 몇명이겠는가? 셀수도 없이 무지하게 많다. 사실이다. 하지만 창업을 한후 없어지는 법인 이나 개인 회사가 얼마나 많은가? 이또한 엄청나게 많다.. 성공확률 거의 어렵다고 보면 된다. 모대학교수 를 만난적이 있어 얘기를 나눠보았다. 이 교수는 경영학과 교수 이다. 교수 또한 본인이 연구 개발하여 신제품을 만들었다. 교수는 이를 판매하고 사업을 하기위해 사업자를 내고 회사를 운영해왔다. 물론 지금도 운영중이다. 하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 교수와의 인터뷰 중 교수가 그리 말했다. "이론과 실무는 차이점이 크다" 이말이 정답이다. 무조건적인 창업은 크게 화를 부르게 된다. 몇년이라도 회사에서 몸담아 경력을 쌓고 그다음 창업을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 창업지원을 한다고 정부에서 자금을 대출 받는다면 이또한 창업자들의 빚 이 되며 성공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실패할경우 창업자들은 빚쟁이가 되는것은 시간문제이다. 사업은 여러가지 기술과 순간판단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물론 운도 따라야 한다. 이는 하루아침에 이루어 지는것이 아니다. 대인관계 부터 시작하고 사람을 다루는 기술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계약을 하는 과정도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