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업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중국, 불경기에 PC 기업 과일도 판매…사업 다각화 열풍

중국, 불경기에 PC 기업 과일도 판매…사업 다각화 열풍 - 레노버 지주사 농산물 시장 진출…세계 3위 식음료 기업 와하하, 종합 유통업 진출 [뉴스TR=장영승기자]  2013년 08월 16일 -- 중국의 유명 소비재 기업들이 사업다각화를 통해 불경기를 극복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PC 업체로 유명한 레노버인데, 레노버 지주사가 최근 농산물시장에 진출, 키위 또는 블루베리 등 고가 농산물을 판매중이다. PC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레노버는 2011년에도 스마트 폰 시장에 진출해 재미를 본 경험이 있다. 당시 1천 위안 대 저가 스마트폰을 출시해 인기를 끌었으며 현재는 중국시장에서 삼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3대 식음료기업인 와하하도 작년부터 그룹 산하에 유통기업을 세우고 전 세계 우수 브랜드를 영입중이다. 와하하 관계자는 앞으로 3~5년 내 중국 전역에 100여개의 쇼핑몰을 오픈하고 300여개의 브랜드와 독점 판매 계약을 맺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5년간 100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미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등지의 100여개 유명 브랜드와는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와하하 관계자는 “최근 중국 중소도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트렌디하고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고급 수입 소비재 수요가 늘고 있다”라며 “2, 3선 도시를 대상으로 쇼핑몰을 개설해 외국 브랜드를 입점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와하하는 한국산 의류, 화장품이 가격대비 품질이 우수하다고 보고 앞으로 한국제품과의 협력에도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와하하 기업은 음료시장 경기가 좋지 않아 2002년 아동복 시장, 2010년에는 유럽산 OEM 분유를 수입 유통시키는 등 사업 다각화를 일찍부터 추진해 왔었다. 유력 제약사인 윈난바이야오(雲南白藥), 시우정야오예(修正藥業), 퉁런탕 등도 화장품, 치약, 샴푸 등 일용 화학품 시장에 진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윈난바이야오는 2004년 치약을 출시해 크게 인기몰이를

[더리뷰] 서울시, 에코스쿨 사업 실시

서울시, 에코스쿨 사업 실시 [더리뷰=장영승기자] 2013년 07월 04일 -- 서울시내 20개 학교가 여름철을 시원하게 날 수 있는 녹색모자를 쓴다. 서울시는 ‘서울, 꽃으로 피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학교 공동체 스스로 학교 내외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도록 20개 학교 옥상에 꽃, 나무를 심는 에코스쿨 사업을 오는 7월부터 본격 실시한다고 밝혔다. 버려진 옥상공간을 활용한 에코스쿨 조성사업은 ‘서울, 꽃으로 피다’ 캠페인의 중점사업인 우리학교 우리 손으로 꽃·나무심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주거 밀도가 높은 도심내 녹지환경에 학생들 스스로 꽃과 나무를 가꿀 수 있는 식재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지난 5월 서울시교육청 협조를 받아 서울시 초·중·고 학교를 대상으로 대상지 공개모집을 실시하였으며,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실현가능성이 큰 학교 20개소를 선정했다. 지난 5월20일부터 31일까지 사업대상지 공모결과 57개소가 신청했으며, 6월19일 사업대상지 선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옥상공간활용가능여부, 구조적 안전여부, 실현가능성, 학교의 적극적 의지 등을 엄정히 판단하여 노원구 서울상원초등학교 등 20개소를 선정했다. 옥상녹화는 꽃과 나무를 항상 가깝게 볼 수 있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요즘같이 전력난이 걱정인 무더운 여름철 냉방효과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제로 옥상녹화지가 1㎡ 늘어날 때마다 냉난방에너지비용을 18,171원을 절감효과가 있고 비녹화지보다 평균습도도 3.1% 정도 높게 나타나 공부에 지친 학생들의 건강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된 20개 학교에 옥상녹화를 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을 조성해 주고 식재와 관리 등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 운영위원회 등 학교 공동체가 스스로 학교를 아름답게 가꾸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아름다운 꽃과 나무로 푸르른 학교를 만들기 위하여 지난 4월부터 380개 학교에 꽃 44천여 본, 나무 53천여

[더리뷰]창조경제의 핵심이 창업뿐인가? 창업지원

창조경제의 핵심이 창업뿐인가?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경제' 구상의 핵심은 창업이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가 성공하려면 좋은 아이디어가 손쉽게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15일 발명의날 기념식)거나 “창업 을 쉽게 하기 위해 획기적인 시스템을 정부 차원에서 마련하겠다”(16일 중소기업인과의 만 찬)고 연일 강조하고 있다. 창조경제의 구상의 핵심은 창업이라.. 참 어이가 없는 말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물론 굉장히 기발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고 사업적인 마인드가 같이 있으면 엄청난 부를 가지고 성공할 것이다. 하지만, 사업이란 부분이 그리 만만한 정도가 아니다. 아주 어렵다. 창업을 시도하려는 사람이 현재 대한민국에 총 몇명이겠는가? 셀수도 없이 무지하게 많다. 사실이다. 하지만 창업을 한후 없어지는 법인 이나 개인 회사가 얼마나 많은가? 이또한 엄청나게 많다.. 성공확률 거의 어렵다고 보면 된다. 모대학교수 를 만난적이 있어 얘기를 나눠보았다. 이 교수는 경영학과 교수 이다. 교수 또한 본인이 연구 개발하여 신제품을 만들었다. 교수는 이를 판매하고 사업을 하기위해 사업자를 내고 회사를 운영해왔다. 물론 지금도 운영중이다. 하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 교수와의 인터뷰 중 교수가 그리 말했다. "이론과 실무는 차이점이 크다" 이말이 정답이다. 무조건적인 창업은 크게 화를 부르게 된다. 몇년이라도 회사에서 몸담아 경력을 쌓고 그다음 창업을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 창업지원을 한다고 정부에서 자금을 대출 받는다면 이또한 창업자들의 빚 이 되며 성공을 한다면 모르겠지만 실패할경우 창업자들은 빚쟁이가 되는것은 시간문제이다. 사업은 여러가지 기술과 순간판단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물론 운도 따라야 한다. 이는 하루아침에 이루어 지는것이 아니다. 대인관계 부터 시작하고 사람을 다루는 기술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계약을 하는 과정도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