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직장인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퇴근 후 또 출근, 직장인 12%는 ‘투잡 중’

[뉴스TR=경제] 직장인의 12.3%는 본래의 직업과 부업을 함께 병행하는 ‘투잡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였다.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 741명을 대상으로 ‘투잡’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직장인의 12.3%가 현재 창업,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부업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투잡을 하는 이유로는 ‘카드값 등 생활비가 부족해서’가 26.9%로 가장 많았고, ‘본업 연봉에 만족하지만 더 큰 여유를 갖고 싶어서’가 뒤를 이어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똑같이 반복되는 생활이 지루해서’가 21.7%, ‘하고 싶었던 창업이 있어서’(14.1%), ‘자아실현을 위해’(7.8%) 등의 순이었다. 직장인들이 현재 하고 있는 투잡의 종류로는 ‘업무와 관련된 프리랜서 아르바이트’가 37.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재택 사무알바’(18.8%), ‘학원강사/과외’(12.6%), ‘서비스직’(12.4%), ‘IT/디자인’(6.5%), ‘음식점/호프 창업’(6.2%) 등의 순이었다. 본업을 병행하는 직장인들이 부업을 하는 시간은 ‘퇴근 후’(40.2%)의 비율이 제일 높았다. ‘주말’(26.3%), ‘주말+퇴근 후’(24.2%)가 뒤를 이었고 ‘업무시간/점심시간 틈틈이’라는 직장인도 8%였다. 한편, 현재 하고 있지는 않지만 투잡을 계획 중에 있다는 직장인은 전체의 67.3%였다.

[뉴스TR] 직장인 연말 술자리 평균 지출 비용 ‘평균 6만 6천 원’

[뉴스TR=사회]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연말 술자리 계획이 있으며 1회 평균 6만 6천 원의 술값을 지출할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 www.career.co.kr 대표 강석인)가 직장인 7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0.2%가 연말 술자리에 참석할 계획이라 답했다. 연말에 계획하고 있는 술자리 회수는 평균 3.7회로 집계되었는데 ‘1~3회’가 56.8%로 가장 많았다. ‘4~6회’ 32.4%, ‘7~10회’ 6.9%, ‘10회 이상’이라는 응답도 3.9% 이었다. 연말 술자리 모임의 종류(복수응답)는 ‘업무 및 직무 등 회사 관련 모임’이 41.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동창·동문 등 학교 관련 모임’은 32.2%, ‘가족 모임’ 10.8%, ‘지역 모임’ 7.5%, ‘커뮤니티·SNS 관련 모임’ 6.2% 순이었다. 술자리 1회당 쓰는 비용은 평균 6만 6천 원이었다. 세부적으로는 ‘3만 원 이상~5만 원 미만’이 37.8%를 차지했으며 ‘1만 원 이상~3만 원 미만’ 35.4%, ‘5만 원 이상~10만 원 미만’ 16.5%, ‘10만 원 이상~15만 원 미만’ 4%, ‘15만 원 이상~20만 원 미만’ 2.7%, ‘1만 원 미만’ 1.4% 이었으며 ‘30만 원 이상’이라는 응답도 1.5% 이었다. 그렇다면 연말 송년회를 이유로 직장인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까? 59.1%가 평상시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송년회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지나치게 과음을 하게 되서’(34.8%), ‘금적적 부담’(27.5%), ‘다음날 업무에 영향을 주어서’(19%),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2.8%)의 순이었다.

[뉴스TR] 직장인 10명중 4명은 “저축 꿈도 못 꿔”

[뉴스TR=사회] 직장인 10명중 4명 정도는 저축을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 www.jobkorea.co.kr )가 직장인 637명을 대상으로 ‘저축실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저축하고 있는가?’를 질문한 결과, ‘못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 36.3%로 10명중 4명 정도를 차지했으며, ‘저축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63.7%로 조사됐다. 저축비율은 미혼자가 기혼자 보다 높았다.(*교차분석) 미혼직장인 중 저축하는 직장인 비율은 65.3%였으며, 기혼직장인 중 저축하는 직장인 비율은 60.7%로 미혼직장인이 기혼직장인 보다 저축비율이 4.6%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이 66.5%비율로 저축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이 63.4%였으며, ‘지방’에 거주하는 직장인이 60.8% 순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저축하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들의 매월 평균 저축액은 71만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봉이 높은 직장인일수록 저축액은 높아졌다. 연봉 ‘1500~2000만원 미만’ 직장인의 저축액은 평균 49만원, ‘2000~3000만원 미만’ 연봉자는 평균 69만원, ‘3000~4000만원 미만’ 연봉자는 평균 84만원, ‘4000만원 이상’인 연봉자는 평균 98만원 순으로 저축액이 높았다. ‘최근 살림살이 나아졌는가’란 질문에는 ‘똑같다’는 응답자가 전체 48.5%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나아지지 못했다’가 33.3%, ‘나아지고 있다’는 응답은 18.2%에 그쳤다. ‘내년에는 저축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는 ‘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답변이 50.4%비율로 절반을 차지했다. 이는 현재 저축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 비율 36.3%보다 14.1%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어 ‘모르겠다’가 43.5%, ‘할 수 없다’가 6.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축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그

[더리뷰] 제이케이옴므, 더위를 피하는 직장인 스타일링 제안

제이케이옴므, 더위를 피하는 직장인 스타일링 제안 [더리뷰=박준식기자] 2013년 06월 25일 -- 장마철은 다가오고 전력난으로 인해 최근 덥고 습한 사무실들이 많다. 정장을 입어야 하는 직장인들의 경우 고민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하지만 여름철 직장인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는 정장들이 쏙쏙 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른바 ‘쿨링’ 소재로 만든 정장들이 그 예이다. 올해는 쿨링 소재들 중에서도 린넨의 인기가 가장 높다. 린넨(linen)은 아마의 실로 짠 얇은 직물로 통풍이 잘 되고 땀이 나도 피부에 잘 달라붙지 않아 쾌적한 감촉을 부여하는 특징을 지녔다. 그리고 린넨은 빛에 노출되었을 때 그 특유의 자연스러운 색감과 사용하면 할수록 자연스럽게 변하는 특성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런 유행을 타고 최근 많은 쇼핑몰들이 다양한 남성 린넨 자켓, 린넨 셔츠 등을 선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제이케이옴므’는 남성 린넨 자켓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쇼핑몰이다. 20대 중 후반에서부터 30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남성 비지니스룩을 선보이고 있어 타 쇼핑몰에 비해 직장인들의 선택의 폭을 넓게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합리적인 가격대로 소비자들에게 큰 지지를 받고 있다. 2013년 남성 여름 패션의 키워드인 모노톤과 시원함의 상징인 린넨 소재의 셔츠와 자켓을 통해 스타일은 지키고 더위는 피하는 깔끔한 여름 직장인 스타일 룩을 뽐내보자. 

[더리뷰] 직장인, 재테크 시작은 ‘첫 월급부터’

직장인, 재테크 시작은 ‘첫 월급부터’ - 돈 관리 필요시기 “취업을 하면 바로 시작” 41.8% - 돈 관리 어렵게 하는 가장 큰 걸림돌 ‘쥐꼬리만 한 월급’ 64.6%         [더리뷰=장영승기자]2013년 06월 19일 --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돈 관리의 시작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도 쥐꼬리만 한 월급 때문에 돈 관리하기를 힘들어 하고 있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 www.jobkorea.co.kr )가 출판사 엘도라도와 함께 남녀 직장인 1032명을 대상으로 ‘피 같은 내 월급 관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돈 관리가 언제부터 필요한지 묻는 질문에 ‘취업을 하면 바로 시작’이라는 응답이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다음으로 39.9%가 ‘학창 시절부터 미리미리’라는 응답이 나와,전체 81.7%비율이 돈을 버는 처음부터 또는 그 이전부터 빨리 재테크를 준비해야 한다고 여겼다.그밖에 △취업하고 사회생활 적응하고 나서(14.8%) △결혼을 준비할 때(2.7%)△결혼 후에(0.8%) 순으로 조사됐다. 실제 돈 관리를 한 시기 역시 ‘취업 직후부터’라는 응답자가 37.5%로 가장 많았다.이어 △취업 후 직장에 자리잡고 나서(28.2%) △취업 전부터(23.1%)△아직 관리 안 한다(9.0%) △학자금대출 갚고 나서(2.2%)순이었다. 돈 관리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걸림돌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쥐꼬리만 한 월급’이라는 응답이 전체 응답률 64.6%로 가장 많았다.다음으로 △지름신(33.6%) △술,친구들과 놀기_주신(23.4%)△재테크 공부 부족(22.4%) △학자금 대출(14.0%)△기타(4.7%)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피 같은 월급을 어떻게 관리할까?특별한 관리 비법으로는 ‘적금이나 예금으로 안전하게 관리한다’가 응답률 61.4%로 가장 많았다.이어 △가계부를 쓴다(27.6%) △아직 특별한 관리 비법이 없다(23.0%)△보기 항목 모두 다 조금씩은 하고 있다(16.0%) △펀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