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회인 게시물 표시

[데일리TR] 치과 분쟁 '임플란트' 시술이 가장 높아

▲ 임플란트 분쟁 [데일리TR] 최근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치아 임플란트 를 시술하는 환자가 늘면서 이에 따라 분쟁 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환자와 병원간 합의가 안돼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에 조정이 신청된 임플란트 분쟁이 지난해 17건으로 한 해 전에 비해 배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2년간 조정이 신청된 치과 관련 분쟁 125건 가운데 28%인 35건이 임플란트 분쟁이었다고 전했다. 임플란트 분쟁 35건을 피해 유형별로 보면 시술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가 37%였고 임플란트 나사못이 빠지거나 깨진 경우가 26%를 차지했으며, 피해자의 54% 가 60대 이상인 반면, 수술 동의서를 미리 작성한 경우는 3건 중 한건인 31%에 불과해 의료진이 부작용을 미리 설명하는 과정이 미흡함을 증명했다. 결국 임플란트 분쟁 가운데 22건, 63%에 대해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가 의료진에 책임이 있음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치과 분쟁 발생시 의무 기록과 치아사진 등의 증빙자료를 확보하고 소비자원 등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는것이 좋다. 다음달부터 75세 이상 고령자의 임플란트 시술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돼 시술 수요가 더욱 늘 것으로 보고있으며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뉴스TR] 김연아 스미싱 주의보 발령..격려메시지 가장한 스미싱

[뉴스TR=사회] 서울시는 최근 '연아야 고마워. 빼앗긴 금메달 저희가 위로드립니다', '한국을 응원해주세요'등과 같은 김연아 선수를 비롯해 소치올림픽 출전 선수에 대한 격려 메시지를 가장한 스미싱 이 나돌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는 민생침해 경보를 발령했다. 사기 문자에 들어있는 인터넷 주소를 누르면 악성 앱이 휴대전화로 자동으로 설치돼 돈이 빠져나가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최근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의 피해가 우려될 때 시민에게 미리 위험을 알리는 민생침해 경보제를 시행했고 경보 발령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스TR] 소설 ‘실업자’, ‘고령화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말하다

소설 ‘실업자’, ‘고령화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말하다 [뉴스TR=장영승기자]  2013년 08월 16일 --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 이런 사회를 일컬어 우리는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라고 부른다. 지속되는 저출산과 의학발달로 인해 한국은 급속도로 고령화사회에 진입중이다. 통계청의 ‘2010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는 전체의 11%이며 2018년에는 14%로 고령 사회(Aged Society), 2026년에는 20%로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화사회가 가져올 문제로는 경제성장 저하 및 내수 위축, 복지 지출로 인한 사회적 부담의 증가, 세대간 갈등, 노후 난민 등을 꼽을 수 있다. 세계적 장수국가인 일본을 필두로 동아시아의 한국과 중국도 이제 고령화사회에 가파르게 접어들고 있으며, 심각한 경제 위기에 봉착한 유럽도 예외는 아니다. 고령화사회에 수반되는 또 하나의 그림자는 ‘실업’으로, 은퇴연령이 갈수록 낮아지면서 각국의 노령 범죄율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전 지구적 문제’를 한 편의 아슬아슬한 스릴러 소설로 그려 낸 작품이 출간되었다. 프랑스 추리문학계의 ‘기념비적 장인’으로 불리는 작가 피에르 르메트르의 최신작 <실업자>는 57세의 실업자인 알랭 들랑브르가 취업하기 위해 위험한 채용시험에 응시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주인공인 알랭 들랑브르는 4년간 실직 상태로, 다니던 직장에서 쫓겨나고 심지어 관리자로부터 고소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는 이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한 거대 기업의 인력관리부서 채용에 응시하지만, 최종 합격자가 이미 내정되어 있는 일종의 ‘쇼’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지만 이미 그는 이 시험에 자신의 모든 것을 건 상태. 분노에 휩싸인 그는 기업과 사회를 상대로 충격적인 인질극을 벌이기로 마음 먹게 된다. 작가인 피에르 르메트르는 자신의 부친이

[더 리뷰] 층간 소음 문제.. 어떻게 해결될 방안이 없는것인가???

층간 소음 문제.. 어떻게 해결될 방안이 없는것인가??? 웃으며 밝게 사는 사회 만들기 요즘 들어 계속 이슈화 되고 있는 부분이 층간 소음 문제이다. 층간 소음문제로 불을 지르고, 이웃을 죽이고 하는 문제가 거의 매일 같이 보도화 되고 있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안은 없는 것인가? 요즘 건축하는 아파트나 주택 같은 경우는 층간 소음 문제가 조금은 덜 한 편이다. 건축당시 원.부자재나 설계 자체를 크게 울리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는 거 같다. 예전에 이웃 사촌이란 말이 있었다. 지금은 유명무실해 졌지만, 현 시대에는 이웃에 누가 살고 있는지 조차도 모른다. 서로 바삐 돌아가는 일상생활 속에서 굳이 그러한 부분까지 알아야 하나?? 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현대 사회인거 같아 마음이 아프다. 이사를 오게 되면 옆집, 이웃집 떡을 돌리곤 했다. 그러한 모습을 현대사회 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로 없어졌다. 사람이 사람과 다투고 싸우는데에는 이유가 있다. 서로의 생각과 입장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내가 이정도 까지 했는데... 내가 이정도 노력을 했는데...뭐 그럴수도 있지... 이러한 생각 이나 행동 자체는 본인만 알고 있는것이다. 서로 대화를 하면서 이러한 부분을 얘기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중의 하나일 것이다. 대화란.. 본인의 입장과 생각만 얘기하는 것이아니라, 상대방의 생각과 입장도 들어 보면서 이를 서로 이해하는것이다. 이렇게 서로가 한발 물러서 대화를 하다보면 조금은 오해가 있었던 부분이 풀리게 될 것이다. 아침에 출근 할때나 퇴근할때 같은 건물에 있을때 "안녕하세요?" 라는 이 한마디 던져보자 굳이 상대방도 처음에 낯설어서 대꾸를 안할수 있지만 창피해 하지말고 계속 하다보면 서로가 웃으면서 인사할 날이 올 것이다. 정부 자체에서도 이러한 부분을 공익적인 캠페인으로 진행을 해보는것도 좋을것이다. 요즘 같이 웃음이 없어진 사회에서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