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용광로인 게시물 표시

[더리뷰] 포스코, 광양1용광로 세계 최대규모로 재탄생

포스코, 광양1용광로 세계 최대규모로 재탄생  2013년 06월 07일 -- 포스코 광양제철소 1용광로가 세계 최대 규모로 재탄생했다. 포스코는 7일 광양제철소에서108일간 개수공사를 마친 1용광로에 불을 지폈다. 이번에 화입한 광양제철소 1용광로는 1987년 4월 처음 3,800㎥으로 준공한 이래, 2대기 3,950㎥규모를 거쳐, 이번에 3대기를 맞아 6,000㎥규모로 재탄생함으로써 기존 최대규모였던 중국 사강그룹의 1용광로(5,800㎥)를 제치고 세계 최대 용광로에 올랐다. 포스코는 1968년 자원은 물론 자본과 기술 어느 하나도 갖추지 못한 철강불모지에서 외국 차관과 기술을 들여와 일관제철 사업을 시작한 이래, 창업 20년만에 광양제철소 1용광로를 자체기술로 건설하는 데 성공했고, 이번에 세계 최대 용광로를 국산기술로 완공하는 개가를 올렸다. 용광로는 한번 건설하면 통산 15년 안팍동안 한번도 불을 꺼트리지 않고 가동하다 수명이 다하면, 용광로를 전면 재건조하는 개수공사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철 설비 기술은 용광로의 수명과 개수공사후 규모 및 생산성 증대 등으로 가늠된다. 포스코는 이번 광양 1용광로를 개수하면서 포스텍, RIST 등과 산학연 협력으로 용광로 노체손상을 줄여주는 새로운 냉각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용광로 수명 연장이 기대된다. 또한 더 많은 환원가스를 용광로에 불어넣어 주는 고산소부화 조업기술 적용 등으로 고로의 단위내용적당 생산되는 쇳물의 양인 출선비를 2.50t/d.㎥까지 끌어올리고, 고온의 환원가스 사용효율 증대로 연료비를 줄임으로써 연간 약 1000억원의 용선제조원가를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국내 최초로 건식집진기를 도입함으로써 고로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가스를 활용한 에너지 회수율을 높여 연간 13억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또한 수증기 발생없이 슬래그를 식혀 고로시멘트의 원료인 수재를 생산하는 무증기수재설비를 갖춰 전력, 용수를 절감하고 냄새와 분진을 최소화시켰다는 평가다. 이처럼 광양 1용광로는 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