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체인 게시물 표시

[뉴스TR]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 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인체 내 생존 메커니즘 규명 [뉴스TR=장영승기자] 2013년 07월 23일 -- 해마다 여름철만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0~4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생명연 김명희 박사팀과 서울대 최상호 교수팀이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어떤 과정을 통해 몸속에서 생존·성장하여 최종적으로 병원성을 갖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글로벌프론티어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생명연(KRIBB) 전문연구사업 및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국립과학원회보지(PNAS)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 논문명 : Structural insights into the regulation of sialic acid catabolism by the Vibrio vulnificus transcriptional repressor NanR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에 감염된 환자중에서 특히 면역력이 감소된 간질환 환자나 당뇨병·폐결핵·신부전증 등의 만성질환자들은 패혈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고, 전환시 사망률이 50%이상이며, 발병 후 사망까지 2~3일밖에 안 걸릴 정도로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진행속도가 빠른 세균이다. 실제로 2011년엔 감염자 51명 중 26명이, 2012년에는 68명 가운데 39명이 사망하였다. 패혈증 비브리오균이 인체 내로 감염시, 병원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영양원이 한정되어 있는 인체 내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생존·성장하여 최종적으로 병원성을 갖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제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이 인체 내로 감염이 되면 패혈증균은 자신의 생존·성장을 위한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때 사람의 장(腸)에 존재하는 N-아세틸뉴라믹산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대사